국민연금 고갈에 관한 뉴스가 나오면서 국민들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이슈로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, 납부액, 수령나이 조회 방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 한 번에 총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

국민연금이란?
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로 소득이 있을 경우 보험료를 납후하고 소득이 끊긴 노후에 매월 연금을 지급받아 기본적인 생활을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.
국민연금은 본인 기준소득월액 9%(본인 4.5%, 회사 4.5%)의 보험료를 매월 납부하며 강제가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.
국민연금은 노후에 받는 노령연금뿐만 아니라 장애연금, 유족연금도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수급자격 및 지급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.
수령나이 기준
국민연금은 연령대별로 수령나이가 정해져 있으며 최대 5년까지 조기수령 및 연기도 가능합니다.
먼저 일반적인 수령나이와 조기수령이 가능한 시기를 알아보겠습니다.
출생연도 | 수령나이 | 조기수령 |
52년생 이전 | 60세 | 55세 |
53~56년생 | 61세 | 56세 |
57~60년생 | 62세 | 57세 |
61~64년생 | 63세 | 58세 |
65~68년생 | 64세 | 59세 |
69년생 이후 | 65세 | 60세 |
위의 표를 보면 52년생 이전은 60세부터 수령할 수 있고 53년생부터는 4년 단위로 묶어 1세씩 수령나이가 증가합니다. 또한 조기수령은 수령나이에서 -1에서 -5세까지 가능하지만 1년마다 -6%씩 감액됩니다.
64년생의 국민연금 수령나이 63세를 기준으로 조기수령에 따른 지급률을 확인해 보겠습니다. 계산 편의를 위해 수령금액은 100만원으로 가정해 보겠습니다.
조기수령 | 지급률 | 수령금액 |
0년 | - | 100만원 |
1년 | -6% | 94만원 |
2년 | -12% | 88만원 |
3년 | -18% | 82만원 |
4년 | -24% | 76만원 |
5년 | -30% | 70-만원 |
이제는 위와 동일한 64년생 기준으로 연기에 따른 지급률을 확인해 보겠습니다. 연기의 경우 1년마다 +7.2%씩 증액됩니다.
연기 | 지급률 | 수령금액 |
0년 | - | 100만원 |
1년 | +7.2% | 107.2만원 |
2년 | +14.4% | 114.4만원 |
3년 | +21.6% | 121.6만원 |
4년 | +28.8% | 128.8만원 |
5년 | +36% | 136만원 |
예상수령액 조회
본인의 예상수령액은 국민연금 공식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먼저 메인화면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 메뉴를 선택합니다.

그러면 다음 화면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선택합니다.

예상연금액 보기를 선택합니다. 단, 안내문구에 따라 해당 금액은 예상일 뿐 물가, 전체 가입자 소득 수준, 본인 가입이력 등에 따라 실제 수령 연금액과 다를 수 있음을 참고해 주세요.

계산을 위한 잠깐의 로딩시간 후 아래와 같이 수령하게 되는 나이와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납부액 조회
납부액도 동일하게 공식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. 먼저 예상수령액 조회와 동일하게 메인화면의 내 연금 알아보기로 접속해서 가입·납부내역 조회 메뉴를 선택합니다.

그러면 아래와 같이 지금까지 납부한 월수와 보험료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 또한 기간, 기준소득월액, 가간별 납부한 보험료, 회사 등 상세내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맺음말
이상으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, 납부액 조회 방법부터 수령나이까지 알아보았습니다.
현재 사회적으로 심각한 저출산 위기와 맞물려 현재의 국민연금 시스템으로는 2055년에 기금이 고갈될 수 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논의중지만, 전 국민이 영향을 받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부디 올바른 방향으로 잘 추진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
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도 국민연금만 믿기보다는 각자 제2, 제3의 노후 대책을 잘 마련해야 할 시기입니다.
'재테크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화누리카드 사용처 및 충전 합산 잔액조회 신청 방법 (0) | 2024.01.08 |
---|---|
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 휴면 계좌 예금 보험금 카드포인트 조회 및 현금화 방법 (0) | 2024.01.07 |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신청방법 사용방법 사용처 총정리 (0) | 2023.12.22 |
ISA 계좌 개념 종류 및 장점 단점 비교 (0) | 2023.12.17 |
공무원 승진 최저연수 단축 및 다자녀 인사 우대 (0) | 2023.12.13 |